좀비 프로세스와 고아 프로세스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좀비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으나 부모 프로세스가 wait() 함수를 호출하지 않아서 자원을 해제하지 못한 상태의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이런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테이블에는 남아있지만 더 이상 실행되지 않으며, 시스템의 자원을 낭비하게 됩니다.

고아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으나 부모 프로세스가 이를 처리하지 못한 상태의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이런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가 없어져서 init 프로세스가 새로운 부모가 되고, init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wait() 함수를 호출하여 자식 프로세스의 자원을 해제합니다.

따라서, 좀비 프로세스와 고아 프로세스는 모두 자원 낭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결 방법이 다릅니다. 좀비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가 wait() 함수를 호출하면서 해제할 수 있고, 고아 프로세스는 init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처리해줍니다.

 

드래그하면 답변이 보입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process 관련 system call 설명  (0) 2023.04.04
[리눅스] vi파일 명령어_우분투  (0) 2023.03.31

system call에 대한 간단한 설명

  • fork() system call은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 할 때 사용된다.
  • wait() system call은 자식 프로세스가 끝날때 까지 기다릴 때 사용된다.
  • getpid() system call은 현재 프로세스의 id 를 가져온다.
  • getppid() system call은 부모 프로세스의 id(parent pid) 를 가져온다.

 

이해를 돕기 위한 코드

#include <sys/types.h>
#include <unistd.h>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t main()
{
    pid_t returned_pid;
    printf("Hello, my pid is %d\n", getpid());

    if((returned_pid=fork()) < 0){
        perror("fork error"); exit(1);
    }
    else if(returned_pid == 0){
        printf("child: pid = %d, ppid = %d\n", getpid(), getppid());
    }
    else{
        wait(NULL); // 자식 프로세스가 모두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printf("parent: I created child with returned_pid=%d\n", returned_pid);
    }

    printf("Bye, my pid is %d\n", getpid());

    return 0;
}

 

위 소스 코드에 대한 설명

먼저, main문이 실행이 되면 Hello, my pid is 부모pid가 출력된다.

  • fork() 함수를 호출하는 순간, 자식 프로세스, 부모 프로세스의 분기가 시작되서 하위의 내용을 각각 실행한다.
  • fork함수의 반환 값은 자식 프로세스일 경우 0을 반환하고, 부모 프로세스일 경우 0 이상의 값을 반환한다.
  • 분기가 시작되었을 경우 자식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될 지, 부모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될 지는 알 수 없다.
  • 하지만 wait() system call을 사용했을 경우,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부모 프로세스는 기다린다.
  • 때문에 child: pid = 자식 프로세스의 pid, ppid =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출력하고, parent: I created child with pid = 자식 프로세스의 pid이 출력되게 된다.

 

아래는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입니다. (부모 프로세스 pid: 135, 자식 프로세스 pid: 136이라 할 때)

 

위 소스코드의 수행결과

- 부모 프로세스 pid: 135, 자식 프로세스 pid: 136이라 할 때의 수행 결과

Hello, my pid is 135
child: pid = 136, ppid = 135
Bye, my pid is 136
parent: I created child with pid=136
Bye, my pid is 135

 

출처: https://wkdtjsgur100.github.io/process-system-call/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what is diffrent zombie and orphan process?  (0) 2023.04.06
[리눅스] vi파일 명령어_우분투  (0) 2023.03.31

vi 파일 저장 및 종료하기

모드 명령키 설명
마지막 행 모드 :q vi에서 작업한것이 없을때 vi 종료합니다.
:q!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합니다.
:w[파일명] 작업한 내용을 저장만 한다. 파일명을 지정하면 새 파일로 저장합니다.
:wq. :wq!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vi를 종료합니다.
명령 모드 ZZ (대문자)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vi를 종료합니다.

내용을 편집한 후 vi를 종료하려면 명령모드나 마지막 행 모드에서 명령을 입력해야 합니다. 마지막 행 모드로 가려면 : 을 누르면 됩니다. 명령모드에서 파일의 저장과 종료를 동시에 수행하려면 대문자ZZ를 누르시면 파일을 저장한 후 vi를 바로 종료합니다.

 

vi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명령키 설명
i 현재 커서 앞에 입력합니다.
a 현재 커서 뒤에 입력합니다.
o 커서가 위치한 행의 다음 행에 입력합니다.
I(대문자 i) 커서가 위치한 행의 첫 컬럼으로 이동하여 입력합니다.
A 커서가 위치한 행의 마지막 컬럼으로 이동하여 입력합니다.
O 커서가 위치한 행의 이전 행에 입력합니다.

vi 편집기에서 내용을 입력하려면 입력모드로 전환해야 합니다.

 

ESC 누를 시 다시 명령모드로 전환.

 

vi 커서 이동하기

명령키 설명
k 커서를 위로 이동합니다.
j 커서를 아래로 이동합니다.
h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l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 / O 커서를 현재 행의 처음으로 이동합니다.
$ 커서를 현재 행의 마지막으로 이동합니다.
- 커서를 한줄 위 처음으로 이동합니다.
+ / Enter 커서를 다음 행의 처음으로 이동합니다.
H 커서를 화면의 맨 윗행으로 이동합니다.
M 커서를 화면의 중간 행으로 이동합니다.
L 커서를 화면의 맨 아랫행으로 이동합니다.
w 커서를 다음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합니다.
b 커서를 앞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합니다.
e 커서를 다음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합니다.
G 파일의 마지막 행으로 커서를 이동합니다.
행번호G 지정한 행 번호로 커서를 이동합니다.
:행번호 지정한 행 번호로 커서를 이동합니다. (마지막 행 모드)
:$ 파일의 마지막 행으로 커서를 이동합니다. (마지막 행 모드)

vi에서는 마우스로 커서를 이동할 수 없고 오로지 키보드로만 커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vi 화면 이동하기

명령 키 설명
Ctrl + u 화면의 절반 만큼 위로 이동합니다.
Ctrl +ㅇ 화면의 절반 만큼 아래로 이동합니다.
Ctrl + b / Page Up 한화면 위로 이동합니다.
Ctrl + f / Page Down 한화면 아래로 이동합니다.
Ctrl + y  화면을 한 행 위로 이동합니다.
Ctrl + e 화면을 한 행 아래로 이동합니다.

파일의 크기가 터미널 화면의 크기보다 클 경우에는 화면을 이동하여야합니다.

 

vi 내용 수정하기

명령 키 설명
r 커서가 위치한 글자를 다른 글자로 수정합니다.
cw, [수정할 단어 수]cw 커서위치에서부터 현재 단어의 끝까지 수정합니다. 숫자cw는 커서 위치로부터 지정한 숫자의 단어 만큼 수정합니다.
s, [수정할 글자 수]s 커서 위치로부터 ESC키를 입력할때까지 수정합니다. 숫자s는 커서 위치로부터 지정한 숫자만의 글자를 수정합니다.
cc 커서가 위치한 행의 내용을 모두 수정합니다.
C 커서 위치로부터 행의 끝까지 수정합니다.

vi에서는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vi 내용 삭제하기

명령 키 설명
x, [삭제할 글자 수]x 커서가 위치한 글자를 삭제합니다. x앞에 삭제할 글자수를 지정할수도 있습니다.
dw, [삭제할 단어 수]dw 커서가 위치한 단어를 삭제합니다. dw앞에 삭제할 단어수를 지정할수도 있습니다.
dd, [삭제할 행 수]dd 커서가 위치한 행을 삭제합니다. dd앞에 삭제할 행의수를 지정할수도 있습니다.
D 커서 위치로부터 행의 끝까지 삭제합니다.

vi에서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vi 명령 취소하기

명령 키 설명
u 명령을 취소합니다.
U 해당 행에서 한 모든 명령을 취소합니다.
:e! 마지막으로 저장한 내용 이후의 것을 모두 취소합니다.

vi에서 명령을 잘못 입력한 경우 그 명령을 취소할수도 있습니다. 윈도우에서의 Ctrl +Z와 비슷한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vi 범위 지정하기

명령 키 설명
1, $, % 1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범위를 지정합니다.
1,. 1행부터 커서가 있는 행까지 지정합니다.
.,$ 커서가 있는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지정합니다.
.,.+2 현재 행과 두번째 아랫행까지 지정합니다.
10,20 10행부터 20행까지 지정합니다.

윈도우에서는 마우스를 드래그하면 범위를 지정할 수 있지만 vi에서는 위의 명령키를 입력하여 범위를 지정하여야 합니다.

 

vi 내용 복사하기 / 잘라내기 / 붙이기

명령 키 설명
yy, [복사할 행 수]yy 커서가 위치한 행을 복사합니다. yy앞에 복사할 행의 수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dd, [잘라내기할 행 수]dd 커서가 위치한 행을 잘라내기합니다. 삭제와 같은 명령어입니다. dd앞에 잘라내기할 행 숫자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p 커서가 위치한 행의 아래쪽에 붙여넣기를 합니다.
P 커서가 위치한 행의 위쪽에 붙여넣기를 합니다.

vi에서도 일반적인 편집기처럼 내용을 복사하거나 잘라붙이기도 가능합니다.

 

vi 내용 검색하기

명령 키 설명
/문자열 문자열을 커서 아래 방향으로 검색합니다.
?문자열 문자열을 커서 위 방향으로 검색합니다.
n 원래 방향으로 다음 문자열을 검색합니다.
N 반대 방향으로 다음 문자열을 검색합니다.

윈도우에서 Ctrl+F를 하여 문자열을 검색하듯 vi에서도 문자열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vi 내용 치환하기

명령 키 설명
:s/[대상문자열]/[바꿀문자열] 커서가 위치한 행에서 첫번째로 나오는 대상문자열을 바꿀문자열로 바꿉니다.
:%s[대상문자열]/[바꿀문자열] 파일 전체에서 모든 대상문자열을 바꿀문자열로 바꿉니다.
:[범위]s[대상문자열]/[바꿀문자열] 범위 내 모든 각 행에서 첫번쨰로 나오는 대상문자열을 바꿀문자열로 바꿉니다.
:[범위]s[대상문자열]/[바꿀문자열]g 범위 내 모든 행에서 대상문자열을 바꿀문자열로 바꿉니다.
:[범위]s[대상문자열]/[바꿀문자열]gc 범위 내 모든 행에서 대상문자열을 바꿀문자열로 바꾸되 수정할 지 여부를 묻습니다.

문자열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다만 문자열을 바꿀때에는 마지막 행모드로 전환을 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명령어 앞의  : 는 마지막 행모드로 전환하는 명령키입니다.

 


출처:

coding-factory.tistory.com/505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what is diffrent zombie and orphan process?  (0) 2023.04.06
[리눅스] process 관련 system call 설명  (0) 2023.04.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