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캐시 (cache)

 

2. 쿠키(cookie)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이 되고 통신 할 댸 HTTP 헤더에 포함되는 데이터 파일

키와 값으로 구성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를 사용하면 누구나 쿠키에 입력된 값을 쉽게 확인 가능 ==> 보안성이 낮다!

 

주로 자동 로그인 유지, 위시 리스트 저장, 팝업창 보지 않기, 뷰 설정값에 사용

3. 세션(session)

서버에 저장되는 쿠키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상태 를 말함

주로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 할 때 사용하고

브라우저르 종료할 때까지 유지된다

사용자의 로컬이 아닌 서버에 직접 저장되므로 세션 내의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려움 ==> 비교적 보안성이 높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해주고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발급해준 세션 ID를 이용해서 저장

 

출처: https://ryusae.tistory.com/7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L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5.06
헷갈리기 쉬운 경로표기법  (0) 2023.02.06

URL 구성

출처: 생활코딩_node.js 강의_9.URL의 이해

path는 컴퓨터 안에 있는 어떤 디렉토리에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query string 값을 변경하면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ex. 내가 읽고 싶은 정보는 html 그리고 12 page야

쿼리 스트링의 시작은 ?로 표시한다.
값과 값 사이는 &로 구분한다.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한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Zhbvui_T9VY

 

 

: 현재 페이지 -> 다른 페이지(리소스)

 

'\' : 파일경로 (file:\\\)

자바경로

C:\Class\DB\JDBC

 

'/' : 웹 경로 구분자. 웹(http://)

현재

./WebContent/Example

 

1. 상대경로

기준 : 현재 웹페이지의 소속 폴더가 기준점

        . : 현재 웹페이지가 소속된 폴더

        .. : 현재 웹페이지의 부모 폴더

자식폴더명 : 현재 소속된 폴더의 자식 폴더

현재 위치를 '나'로 기준을 삼고 상대를 찾는 표현

 

2. 절대경로

기준 : 누구나 다 알고있는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를 찾는 표현

'/' 기준 -> '/' 는 웹사이트의 루트 폴더 > "http://localhost:8090" 

'/WebClientTest' == 'WebContent'

 

3. 로컬경로

사용 안함

웹서버가 아니라 브라우저가 동작 중인 로컬 컴퓨터의 경로를 탐색

 

4. 외부경로

http:// 시작

남의 사이트 주소

 

 

WebContent 폴더

: 외부에서(클라이언트) 브라우저로 접근할 수 있는 가장 상위 폴더

: 웹 루트 폴더

 

웹 서버

- C:\ > Class > WebClientTest > WebContent > ex01.htm

 

외부 시각

- http://localhost:8090/WebClientTest/Member/list.htm

- http://localhost:8090 -> 특정 컴퓨터 아파치 톰캣(웹 서버)

- WebClientTest -> 프로젝트명 -> 컨텍스트 루트(Context Root)

- http://localhost:8090/WebClientTest/ -> WebContent

 

http://localhost:8090/

http://localhost:8090/WebClientTest

http://localhost:8090/WebClientTest/ex01.htm

 

 

4가지 경로 표기법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
</head>
<body>
     <h1>상대 경로</h1>
     <div><a href ="./ex04.htm">같은 폴더의 다른 페이지 이동하기</a></div>
     <div><a href ="ex04.htm">같은 폴더의 다른 페이지 이동하기</a></div>
     <div><a href ="./Member/list.htm">자식 폴더의 다른 페이지 이동하기</a></div>
     <div><a href ="Member/list.htm">자식 폴더의 다른 페이지 이동하기</a></div>
     <div><a href ="./Member/private/private.htm">자식 폴더의 다른 페이지 이동하기</a></div>
     <div><a href ="Member/private/private.htm">자식 폴더의 다른 페이지 이동하기</a></div>
     <div><a href ="../필기.txt">프로젝트 루트 폴더의 자원으로 이동</a></div>
     
     <h1>절대 경로</h1>
     <div><a href ="/WebClientTest/ex01.htm">절대경로</a></div>
     <div><a href ="/WebClientTest/Member/list.htm">절대경로</a></div>
     <div><a href ="/WebClientTest/Member/private/private.htm">절대경로</a></div>
     <div><a href ="/WebClientTest/Member/list.htm">부모폴더의 다른 페이지 이동하기</a></div>
     
     
     <h1>로컬 경로</h1>
     <div><a href ="ex01.htm">1번예제 (상대)</a></div>
     <div><a href ="/WebClientTest/ex01.htm">1번예제 (절대)</a></div>
     <div><a href ="C:\Users\user\Desktop\Class\WebClient\WebClientTest\WebContent\ex01.htm">1번예제 (로컬)</a></div>
     
     <h1>외부 경로</h1>
     <div><a href = "http://naver.com">네이버 이동하기</a></div>
     <div><a href = "http://www.naver.com">네이버 이동하기</a></div>
     
</body>
</html>

기록용으로 아래의 표기된 출처의 내용과 같습니다.

 

출처

https://sas-study.tistory.com/127

 

 

[HTML] 경로표기법(절대경로, 상대경로)

웹에서 경로표기법 : 현재 페이지 -> 다른 페이지(리소스) '\' : 파일경로 (file:\\\)자바경로C:\Class\DB\JDBC'/' : 웹 경로 구분자. 웹(http://)현재./WebContent/Example 1. 상대경로기준 : 현재 웹페이지의 소속

sas-study.tistory.com

 

+ Recent posts